Do IT Yourself
나누었을때 나머지가 0일 경우 더해주면 된다.문제풀이 def sumDivisor(num): j = 0 for i in range(1,num+1): if num % i == 0: j += i return j 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 print(sumDivisor(12))
items() 함수는 key와 value의 쌍을 튜플로 묶어 반환한다.문제풀이 def sort_dictionary(dic): return sorted(dic.items()) 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 print( sort_dictionary( {"김철수":78, "이하나":97, "정진원":88} ))
min() 함수를 이용해 가장 작은 수를 찾고 remove() 함수를 이용해 요소를 지우면 된다. 문제풀이 def rm_small(mylist): mylist.remove(min(mylist)) return mylist 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 my_list = [4, 3, 2, 1] print("결과 {} ".format(rm_small(my_list)))
sum() 함수를 이용하면 리스트 내부에 요소를 쉽게 더할 수 있다.문제풀이 def average(array): return sum(array) / len(array) 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 list = [5,3,4] print("평균값 : {}".format(average(list)));
파이썬 공부를 하면서 배워가는게 많다."수박"을 n만큼 반복하고 인덱싱을 이용하여 짝수와 홀수를 구분하자문제풀이 def water_melon(n): return ("수박" * n)[:n] # 실행을 위한 테스트코드입니다. print("n이 3인 경우: " + water_melon(3)); print("n이 4인 경우: " + water_melon(4));
평범한 별찍기 방식으로 풀어보았다.문제풀이 def printTriangle(num): s = "" for i in range(1,num + 1): for j in range(0,i): s = s + "*" s = s + "\n" return s 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 print( printTriangle(3) )
index() 함수는 요소의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.이 함수를 이용해 문제를 풀면 간단하다.문제풀이 def findKim(seoul): return "김서방은 {}에 있다".format(seoul.index("Kim")) # 실행을 위한 테스트코드입니다. print(findKim(["Queen", "Tod", "Kim"]))
파이썬은 형변환이 편리하기에 그것을 이용하면 된다.문제풀이 def strToInt(str): return int(str) # 아래는 테스트로 출력해 보기 위한 코드입니다. print(strToInt("-1234"));